본문 바로가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31

인간의 발달 - 유아기 인간의 발달- 유아기 인간 발달 과정에서 유아기는 인간 발달 이론 학자마다 유아기를 지칭하는 표현과 단계가 다른데 간단히 설명하면서 유아기의 발달을 설명하고자 한다. -프로이트의 남근기프로이트의 남근기는 3~6세에 해당하는 아이로 아이가 자신의 성별을 인식하고 동성 부모를 모델로 삼아 흉내 내면서 성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이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가 나타날 수 있는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란 아들이 동성인 아버지에게는 적대적이지만 이성인 어머니에게는 호의적이고 성적 애착을 가지고 복합 감정을 뜻한다. 유아기에 남자 아동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해결하면서 규범, 도덕, 성과 관련된 행동 등을 배울 수 있다. 엘렉트라 콤플렉스란 딸이 아버지에게 애정을 품고 어머니를 경쟁자로 인식하는 오.. 2025. 3. 27.
인간의 발달- 신생아기 및 영아기 신생아기 및 영아기 신생아는 새로 태어난 아기로 출생 후 1개월 가지의 아기를 뜻한다. 인간 발달의 2번째 단계이기도 하다. 신생아는 얼마 전까지는 엄마의 태 속의 양수에서 있었기 때문에 아직 신체가 쭈글쭈글하며 힘이 매우 약하다. 스스로 목을 가눌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매우 조심히 아이를 안아야 한다. 신생아의 신체 구조는 머리가 전체 키 1/4의 비중이고 가슴과 배가 크며 팔이 다리보다 긴 형태이다. 그리고 머리뼈에 6개의 숫구멍이 존재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영아기는 생후 1개월부터 24개월의 아기를 뜻한다. 영아기 때 급속한 신체적 성장과 뇌와 신 성계의 발달이 일어나기 때문에 제1 성장 급등기라고 표현한다. 이 시기의 신체적 발달로는 출생 후 1년쯤에는 출생했을 때보다 몸무게가 3배, 키는.. 2025. 3. 25.
인간의 발달- 태아기 인간의 발달- 태아기  태내 발달 단계 (태아기)임신 1단계의 발달은 수정에서 시작된다.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란이 형성되는 것으로 임신이 시작되는데 수정 후에 약 280일 동안은 태아가 어머니의 몸 안에서 자라게 된다. 태내 발달은 수정에서부터 출산에 이르기까지 3단계로 구분하는데 배란기, 배아기, 태아기로 나뉜다.  배란기는 수정이 이루어진 후부터 자궁벽에 착상하기까지의 2주간의 시기를 뜻한다. 이때 빠른 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배아기는 자궁벽에 수정란이 착상한 후부터 약 6주간의 시기를 말하는데 배 속에 있는 태아는 자궁벽에서 영양분을 얻어 성장하고 이때 신체의 주요 기관과 조직의 약 95퍼센트가 형성되게 된다. 배아기에 신체의 주요 기관들이 빠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임산부의 상태가 아이에게 가장 .. 2024. 12. 17.
환경 속의 인간- 거시 체계 (조직, 지역사회, 문화) 환경 속의 인간- 거시 체계 (조직, 지역사회, 문화)    1. 서론브론펜브레너는 인간의 발달과 행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이 크기가 다른 인형이 겹겹이 들어있는 러시아 인형처럼 여러 층으로 쌓여 위계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다. 가장 안쪽에 있는 러시아 인형이 개인이라고 예를 들자면 그다음에 있는 환경체계와 또 그다음에 있환경체계로 이렇게 여러 가지가 있는 것이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가장 즉각적이고 가까운 환경체계인 미시체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는데 이번에는 거시체계에 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거시체계는 가장 바깥쪽 층으로 다른 모든 수준의 환경을 포함하는 큰 개념이고 문화, 가치관, 정치, 경제, 법, 관습 등을 의미한다. 거치 체계 속에 조직, 지역사회, 문화가 포함될 수 있는데 하나씩 세.. 2024. 11. 26.
환경 속의 인간- 미시 체계(가족, 집단) 환경 속의 인간- 미시 체계(가족, 집단)    1. 서론 사람은 다양한 환경 속에 살아가는데 사람을 둘러싼 환경은 개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환경 속의 인간 개념으로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의 개념이 있고 각각의 체계의 사람의 일상생활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호작용을 한다. 체계와의 상호작용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행동 패턴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이번에 다룰 미시체계는 가장 가까운 사람들과의 관계 즉 가족이나 직장동료, 친구와의 관계 속에서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미시체계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개념이 가족과 집단이 인간 개인에게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2. 미시체계 (가족/ 집단) 1. 가족 가족은 사회의 기본적 집단으로 어릴 적부터 인간 개인이.. 2024. 11. 25.
생태학이론 생태학이론 1. 서론러시아계 미국인 발달 심리학자인 유리 브론펜브레너는 생태학 이론을 정립한 학자이다. 생태학 이론이란 인간의 발달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는 관점이다. 사람은 성장하는 유기체로서 항상 사회적, 물리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살아가고 환경과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환경 속의 인간이라는 개념을 강조한다. 생태학 이론의 인간관 기본가정은 인간은 환경과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타고났고 사람은 목적 지향적이며 유능해지려고 노력하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성격은 개인과 환경 간의 오랜 관계에서 나온 산물로 생각하고 사회복지사로 클라이언트를 돕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의 생활공간 어디에든 개입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브론펜브레너는 인간을 둘러.. 2024. 11. 4.